오늘 레슨 받을 때 질문했던 내용과 선생님의 간단명료한 답
Q. 1 포지션으로 해결되는 스코어를 굳이 3,4 포지션으로 하는 이유는 뭔가요? (3,4 포지션이 더 어렵다)
A. 개방현을 피하기 위해서. 연주할 때 개방현은 되도록 안쓴다. 개방현의 소리는 울림이 많고 퍼지고 크다.
답을 듣고 나니 아하~ 그렇구나 감이 온다. 개방현의 소리는 곡을 연주할 때 너무 튈 것이므로 모아지는 아름다운 음을 내기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같은 음이라도 개방현과 비개방현이 내는 소리의 느낌이 이렇게 다를 수 있다니..) 한마디로 내 질문은 현악기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한데서 나온 것이다. 좋은 소리를 내려면 손이 고생해야지..
Q. 하모닉스는 왜 필요한거죠?
A. 먼 곳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소리를 내려면 하모닉이 필요함.
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 같은 소리..? 개방현과 비개방현의 느낌을 아는 것과 마찬가지로 같은 음이라도 하모닉스로 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느낌 차이를 알아야 이 답을 이해할 수 있다.
넘 뻔한 소리를 했나? 현악기에 대해 아는 사람이 들으면 웃겠군. 그러나 나에게는 이 질문과 답이 중요한 발견이었다!!
Q. 1 포지션으로 해결되는 스코어를 굳이 3,4 포지션으로 하는 이유는 뭔가요? (3,4 포지션이 더 어렵다)
A. 개방현을 피하기 위해서. 연주할 때 개방현은 되도록 안쓴다. 개방현의 소리는 울림이 많고 퍼지고 크다.
답을 듣고 나니 아하~ 그렇구나 감이 온다. 개방현의 소리는 곡을 연주할 때 너무 튈 것이므로 모아지는 아름다운 음을 내기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같은 음이라도 개방현과 비개방현이 내는 소리의 느낌이 이렇게 다를 수 있다니..) 한마디로 내 질문은 현악기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한데서 나온 것이다. 좋은 소리를 내려면 손이 고생해야지..
Q. 하모닉스는 왜 필요한거죠?
A. 먼 곳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소리를 내려면 하모닉이 필요함.
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 같은 소리..? 개방현과 비개방현의 느낌을 아는 것과 마찬가지로 같은 음이라도 하모닉스로 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느낌 차이를 알아야 이 답을 이해할 수 있다.
넘 뻔한 소리를 했나? 현악기에 대해 아는 사람이 들으면 웃겠군. 그러나 나에게는 이 질문과 답이 중요한 발견이었다!!
'신변잡기 > 음악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첼로 스케일 연습 교본 (1) | 2006.11.27 |
---|---|
내 침실에 들어온 남자 (4) | 2006.11.06 |
첼로 강습 진도 (0) | 2006.08.04 |
피터 비스펠베이의 연구소 공연 (0) | 2006.08.04 |
'음색'에 관련한 수학적 거짓말적(?) 고찰 (0) | 2006.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