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때] 2008년 2월 7~8일
[책 구한 곳] 유성 전자책 도서관
[서지 정보]
제목 : 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부제 : 미래를 위한 자기발전 독서법
지은이 : 안상헌
펴낸곳 : 북포스
2005년 3월 18일 발행
[읽고나서]
전략적 책읽기, 창조적 책읽기, 성공한 사람들의 독서습관 등 책읽기와 관련된 책이 발견되면 꼭 훝어보게 된다.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책읽기를 할까 하는 기본적인 호기심이 작용한 탓도 있거니와 실제로는 책을 많이 읽고 사는 소위 독서광들의 효율적인 책읽기 노하우를 옅보기 위함인 것이다. 이 책은 자칭 독서광의 책 잘 읽는 방법론에 대한 깔끔한 교본과 같은 책이다. 이런 식으로 정리되어 있는 책은 쉽게 읽히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그리고 어느 페이지를 펴도 상관없으므로 맨 앞장부터 순서대로 읽을 필요도 없고 목차를 참조해서 임의의 페이지로 뛰어 넘어도 되는 것이다.
어쨌거나, 책읽는 것에 대한 교본(?)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 있으니 이 책에서도 예외 아니게 책은 사서 읽도록 하고, 그 책에 좋은 글귀는 표시하거나 따로 메모하고, 심지어 외워두라고 충고하고 있다.
그 외에도 매 장의 끝에 저자의 독서노트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저러 해라 식의 책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고 우연하게도 그 독서노트에서 좋은 글귀들을 발견해 낼 수 있어 좋다고 첨언해 둔다.
아래에 이 책의 목차를 옮겨 둔다. 목차만 읽어도 대략 내용은 짐작 가능하니 도선관에서 빌린 이 책이 반납되더라도 목차를 읽어보며 나는 내용들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1부] 책읽기, 이렇게 하라
1. 잠수함과 토끼 -언제나 책을 들고 다녀라
2. 생각하는 사람, 실천하는 사람 -지금 당장 책을 잡아라
3. 마음형 인간 -자신만의 독서시간을 만들어라
4. 서당의 학동처럼 -중요한 내용은 외워라
5. 형광펜과 포스트잇 -자신만의 밑줄을 그어라
6. 어린이의 책읽기와 어른의 책읽기 -내가 왜 이 책을 읽는지 이유를 확실히 하라
7. 내 사랑 책 -돈으로 책을 사지 말고 마음으로 책을 사라
8. 인간적인 것의 힘 -세상에 대한 애정이 담긴 책을 선택하라
9. 거꾸로 혹은 삐딱하게 -외워야 할 책과 넘어가야 할 책을 구별하라
10. 삼장법사의 의문 -끊임없이 질문하면서 읽어라
11. Give and Take -책에게 정성을 주고 삶의 지혜를 받아내라
12. 창의적 책읽기 3단계 -많이 읽고 많이 써라
13. 책 한 권에 종이 한 장 -독서의 결과물을 차곡차곡 쌓아가라
[2부] 책읽기, 이렇게 하면 안 된다
14. 해도 안 된다고? -금방 답이 나오지 않아도 실망하지 마라
15. 멀리 가는 향기 -빨리 읽으려고 애쓰지 마라
16. 피그말리온 현상-두껍고 어려운 책이라고 포기하지 마라
17. 언젠가는 알아들을 날이 올 거야 -이해할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마라
18. 리더십과 헤드십 -건강하지 못한 책은 '아니다'라고 거부하라
19. 질투와 편견 -저자와 소모적인 질투를 벌이지 마라
20. 집단사고? 불복! -만장일치와 권위에 굴복하지 마라
21. 영화배우 주성치 -반대의견을 올바로 받아들여라
22. 테세우스의 길 -남의 생각을 뜯어고치려고 하지 마라
23. 느림의 미학 -슬럼프를 피하지 마라
24. 열심히 살기와 의미있게 살기 -때때로 책읽기에 브레이크를 걸어라
25. 빈센트 프리만을 위하여 -뭔가 있는 것처럼 보이려고 애쓰지 마라
26. 도서관이냐 자율학습이냐-책읽기로부터 스스로를 퇴직시키지 말라
[3부] 지름길 독서, 입장을 바꿔보면 책읽기가 쉬워진다
27. Learning by doing -타인에게 설명하듯이 읽어보라
28. 역지사지(易地思之) -저자의 입장에서 읽어보라
29. 일상에 흘리기 -자기가 읽은 내용을 남들에게 들려줘라
30. 내 머릿속의 개념정의 -나와 연관시켜 책의 내용을 정의 내려보자
31. 행복한 모티베이션 -책 한 권마다 나만의 동기부여를 하라
32. 마지막이 아름다운 사람 -생계유지형, 외부지향형, 내부지향형 책읽기
33. 공유의 즐거움 -다른 사람들의 독후감에 귀기울여라
34. 평범한 일을 비범하게 -키워드를 잡아라
35. 지식의 식민지 -책에서 창조성을 끌어내라
36. 책 한 권의 블록버스터 -다양한 가치를 찾아내라
37. 머리가 아니라 손 -많이 읽었으면 글쓰기에 도전하라
38. 구체와 추상의 대화 -훌륭한 독자는 또 하나의 저자가 된다
[4부] 책읽기, 그 속에 길이 있다
39. 공짜는 없다 -미래를 위해 나만의 책 세 권을 골라보라
40. 자극과 변화 -책읽기로 세상살이의 내공을 쌓아라
41. 위기가 기회 -책 속에서 제2의 인생을 만들어갈 수단을 찾아라
42. 감동의 힘 -모든 책에는 배울 것이 있다
43. 재미와 열정 -눈높이에 맞는 책으로 자기를 충전하라
44. 마음 발전소 -재미있는 책읽기가 자기를 발전시킨다
45. 실천적 중독자 -현실과 끊임없이 대화하라
46. 책읽기와 비즈니스 -창조적으로 읽어야 해결책이 보인다
47. 하드 디스크, 헤드 디스크 -자신의 헤드 디스크를 매력있게 채워가라
48. 랍비와 지식노동자 -지식 부자가 진짜 부자다
49. 비워두기 -새로운 정보를 위해 머리를 비워두라
50. 미래를 위하여 -자기만의 독서법을 써보라
[옮겨읽기]
내가 책읽기를 통해서 배운 것은 세상은 꾸준히 실천하는 사람의 것이라는 진리다. 하루에 50페이지만 꾸준히 읽으면 일주일에 책 한 권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1년이면 50권이 넘는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에 충분한 양이다. <변화의 기술>의 저자 오자사 요시히사는 "타인이 아닌 '자신'에게 눈을 돌리고 '미래'를 위해 필요한 '행동'과 '사고'에 집중하는 것. 이것이 모티베이션 컨트롤의 기본 중의 기본이다"라고 말한다.
자신이 변화시킬 수 없는 과거나 타인에 집중하지 말고 자신이 바꿀 수 있는 자신과 미래에 집중해서 행동하라는 것이다.
책 읽는 습관은 미래를 만드는 행동이다. 지금 당장 책을 잡도록 하자. 우리의 내일은 벌써 달라질 것이다.
경영학의 대가인 피터 드러커 교수는 3년 정도를 주기로 관심이 있는 특정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고 한다. 3년이라는 시간은 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적합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3년 동안은 경제학, 또 3년 동안은 심리학, 그 다음 3년 동안은 서양미술사 이렇게 3년을 주기로 연구분야를 바꾸어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각 분야들이 통합되고 정리되어 통합적인 지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90세가 넘는 지금까지 자신의 지식 폭을 확대하고 있다.
학문의 길은 결국 통하게 되어 있다. 한 가지에 정통하면 다른 것들의 본질을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학문의 길에서 우왕자왕하면 하나에 정통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조금 알지만 모든 것을 모르는 상태가 되고 만다.
'독서노트 > 독서 & 인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을 거리들 (0) | 2009.03.11 |
---|---|
들리는 詩 (1) | 2008.02.08 |
구입한 책으로 보는 관심사 (0) | 2007.12.30 |
극단적 미래예측 (The Extreme Future) (0) | 2007.10.16 |
허영의 시장, Vanity Fair (0) | 2007.09.04 |